결혼을 제대로 정의하기 위하여는 신뢰와 권위를 갖춘 역사적 자료가 필요합니다. 이자료를 통해 세속적 인본주의와 진화론적 사고에 빠져서 허우적대는 사람들이 결혼이라는 주제에 관하여는 왜 그토록 애매모호한지 그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진화론적 사고로 보자면, 본질적으로 결혼은 인류 사회가 문명화되는 가운데 결혼하는 것이 더 낫기 때문에 오랜 시간에 걸쳐 전통으로 자리잡은 진화의 결과입니다. 이런 관점 아래 결혼은…

Read More

앞서 유튜브 채널 [북툰]의 “중간단계 화석을 시원하게 보여드립니다”에 대한 비판을 4편에 걸쳐 연재하였습니다. 이번은 [북툰]에서가장 많이 인용했다는 책, “화석은 말한다” (Evolution: What the Fossils Say and Why it Matters, Donald R. Prothero, 2017)에 대한 비판 글을 싣습니다. 글은 창조과학선교회 강사인 죠수아 고 박사가 썼습니다. ————————————————————- 죠수아고(PhD)지질학박사, 석사, 학사, 생물 부전공석사급 국제관계학 이수현 두 대학의 겸임교수미군장교…

Read More

앞서 유튜브 채널 [북툰]의 “중간단계 화석을 시원하게 보여드립니다”에 대한 비판을 4편에 걸쳐 연재하였습니다. 이번은 [북툰]에서 가장 많이 인용했다는 책, “화석은 말한다” (Evolution: What the Fossils Say and Why it Matters, Donald R. Prothero, 2017)에 대한 비판 글을 싣습니다. 글은 창조과학선교회 강사인 죠수아 고 박사가 썼습니다. ————————————————————- 고죠슈아(Joshua Kohath) Geosciences B.S., minor in BiologyGeology, M.S. Grad…

Read More

앞서 언급한 여러 쟁점들을 통해 진화론에 사로잡힌 “중간단계 화석”개념의 문제점을 비교적 자세히 다루었는데, 마지막으로 고래화석 역시 중간단계 화석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다루어 본다.   7) 고래화석 & 마무리[영상 7’28”~11’13”] 북툰은 고래의 중간단계 화석으로 파키케투스(Pakicetus)와 암불로케투스(Ambulocetus)를 조명하였다. 그러면서 이러한 발견들이 발굽 달린 포유류에서 원시 고래까지의 전이 과정을 훌륭하게 보여준다고 주장하였다. 많은 “아마추어” 진화론자들은 고래가 육지 동물인 포유류에서부터…

Read More

이번 글에서는 중간단계 화석의 뜨거운 감자라 불리는 시조새와 틱타알릭을 다루어 보겠다. 6) 시조새 [영상 4’26”~6’14”] 영상의 시작부터 북툰은 “전세계 학계에서는 시조새를 공룡과 새의 대표적인 중간단계 화석으로 인정”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실제로 정말 그런지 학계의 목소리를 직접 들어볼 필요가 있다. a)   진화론자이며 새에 대하여 최고의 권위자인 앨런 페두치아(Alan Feduccia) 박사는 시조새에 대하여 이렇게 결론지었다: ‘고 생물학자들은 시조새를…

Read More

4) 절반의 거북? [영상3’14”~3’47”] 북툰은 거북이의 전이 화석이 2008년에 발견되었다고 하면서 “오돈토켈리스(Odontochelyssemitestacea)”를 그 증거로 제시했다. 그러면서 “거북은 배 딱지부터 만들어지고 등딱지는 이후 갈비뼈에서 진화”되기 때문에 이 화석은 “배 딱지는 있고 등딱지가 없는 절반의 거북”이라고 말했지만, 정말로 그럴까? 너무나도 빈약하게 오돈토켈리스가 전이 화석이라고만 했지 어떤 과정에 의해 진화되었는지에 대한 과학적 증거는 하나도 제시하지 못한다. 아울러 브리태니커…

Read More

최근 몇몇 분들께서 창조과학선교회에 유튜브채널 [북툰]의 “중간단계 화석을 시원하게 보여드립니다”에 대한 질문을 주셨다. 이에 대하여 특별히 영상에서 강조하는 전이 화석이 정말 근거 있는 것인가에 대하여 비교적 자세히 짚고 넘어가려고 한다. 독자들께서는 이 영상의 반박을 기회로 삼아 오히려 성경의 증거가 얼마나 명확하며, 또한 이 세상이 얼마나 진화론적 세계관에 매달리려 하는지알게 되는 계기가 되시기를 바란다. 앞으로 수…

Read More

하나님의 존재를 거부하려는 시도 중 하나님의 성품에 대한 공격은 오늘날 크리스천이 많이 받는 질문입니다. 이는 참으로 환상적인(!) 역설이라고 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선의 기준과 정의가 되시는 성경의 하나님이 없다면 누군가를 도덕적으로 판단할 절대적 기준 자체도 존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 출발점부터 세속주의자들은 악성 딜레마에 빠져 버립니다. 가장 빈도 높은 공격 형태 중에 하나는 하나님께서 소위…

Read More

아닙니다. 그 이유를 이해하려면 먼저 사회정의(social justice)가 무엇인지 알아야만 합니다. 세속적 개념으로 볼 때, 오늘날 사회정의는 사회 속의 각 개인에게 부, 기회, 특권을 어떻게 하면 평등하게 분배할 것인가에 대한고민을 의미합니다. 이는 하나의 운동입니다. 사회의 평등을 추구하려는 시도로써 억압받는 사람들을 찾아내고자 하며, 더 나아가 권한을 이양하고 재분배함으로써 사회적 부당함을 바로잡아 사회의 정의를 실현하려는 것입니다. 최근 혁신적으로…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