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벨탑을 쌓으며 하나님의 명령을 대적했을 때 하나님께서는 언어를 혼잡하게 하여 인류를 흩으신다. 이때 인류가 흩어지며 같은 언어 집단인 나라(nations)라는 단어가 처음으로 등장한다(창 10장; 11:6-9). 그 후 인류는 흩어지며 다시 과거를 잊어버리게 되는데, 과거 사실은 단 한 세대만이라도 끊기면 다음 세대는 결코 그 사실을 깨달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즉 하나님께서 처음부터 보시기에 좋게 창조하셨다는 것,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이며, 죄로 인해 죽음이 왔으며, 모든 피조물이 저주를 받게 되었다는 등의 진짜 역사를 잊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과거를 잊기 시작한 때부터 사람들은 자신들이 어디서 왔는지 알기 위해 스스로 깨달아야 하는 현실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각 나라가 갖고 있는 고대 전설과 설화들은 당시 조상들의 사고를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전설과 설화는 사람들이 지어 낸 이야기이며, 이를 전승한 사람들의 사고와 의도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몇 가지 대표적인 건국설화와 전설들을 소개한다.
-고조선: 단군은 하늘 신의 아들인 환웅과 곰에서 여자가 된 웅녀 사이에서 태어났다.
-신라와 가야: 박혁거세와 가야를 건축한 김수로는 알에서 났다.
-중국의 상나라: 시조인 ‘설’은 제비가 떨어트린 알을 먹고 잉태되었다.
-베트남: 바다와 산의 신에서 난 딸이 낳은 100개의 알에서 난 아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로마: 미(美)의 여신 아프로디테의 후손과 전쟁의 신 마르스 사이에 태어난 아들이 늑대의 젖을 먹고 자라다 사람의 손에 자라게 되어 로마를 건국했다.
-이집트: 태양신이 하늘로 올라갔으며 여러 신 중에 하나인 ‘호루스’가 어머니 의 머리(head)를 자른 후 그녀의 머리를 소(cow)로 대체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잉카제국: 태양의 신 ‘인띠’가 창조한 자들이 첫 번째 왕국을 건설했다.
-아메리칸 인디언: 많은 설화에서 태양이나 달의 신이 등장하고 조개에서 최 초의 인간이 탄생하는 이야기들이 등장한다

Read More

그동안 1년 여에 걸쳐 사회진화론(Social Evolution)에 대하여 연재하였다. 사회진화론이란 진화론이 등장한 이후에 진화 역사를 사실로 놓고 개인과 사회에 적용시키려는 시도를 말한다. 지난 글들을 통해서 거짓 역사인 진화론이 단지 과학책을 넘어 개인과 사회에 어떠한 심각한 문제를 일으켰는지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이에 대하여 미국은 기본적인 삶의 기준이 성경이었고 유럽보다 진화론을 나중에 받 아들였다는 점에서 진화론 교육 전후에 대한 변화를 비교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었다. 미국은 1960년에서야 학교에서 진화론을 강조하였고, 이에 따라 1963년에 공립학교 기도 금지로 이어졌다. 그리고 이 시점으로 성적타락, 이혼율의 급증, 낙태의 발생과 증가, 학원 총기사건 증가 등의 사회 변화의 격동기를 다루었다.

진화론의 보급 이후 가장 먼저 바뀐 것이 성문화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다윈과 그의 이론을 따르는 자들은 성선택을 가장 중요한 진화 과정 가운데 하나로 꼽았으며, 이는 성개방으로 이어졌다. 그 동안 억제되었던 혼전 성관계가 급증하기 시작했고, 이에 따른 미혼자녀의 증가와 낙태의 발생과 증가로 이어졌다. 아울러 결혼이라는 거룩한 하나님의 작품이 훼손되어 결국 이혼율 증가를 보이기 시작했다. 최근 미국은 결혼보다 동거 숫자가 훨씬 많은 것이 현실이다.

Read More

1. 우주는 빅뱅으로 시작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빅뱅에 대하여 마치 과학적 사실 인 것처럼 말하지만 실제로는 결코 입증된 적 없는 추측이다. 어떤 사람들은 우주가 여전히 팽창하고 있는 것 이 폭발에 의한 영향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오늘날 우주가 팽창한다고 하더라도 빅뱅이 우주의 기원일 필요는 없다. 하나님께서는 사과 크기부터 시작하지 않고 훨씬 더 큰 크기로부터 확장할 수 있으셨다. 세속적인 교과서조차 수평선 문제와 성숙한 은하 문제와 같은 빅뱅의 한계를 알고 있다. 빅뱅이 사실이라면 우주는 그 구조와 온도에 걸쳐 현재 알려진 것과 같이 놀랄 만한 균일성 또는 “동일성”을 가져서는 안 된다. 빅뱅이 옳다면 또한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은하는 (빛이 지구에 도달하기 위해 긴 시간이 필요 하고 따라서 오래 전에 은하가 처음 형성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줘야 하므로) 어린 은하로 보여야 한다. 그러나 그들은 가까운 은하와 같은 나이의 성숙된 모습 을 보여준다.
질문: 관찰할 수 있고, 측정 가능하며,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빅뱅이 실제로 발생했음을 알 수 있을까? 수평선 문제와 먼 은하의 성숙한 모습의 문제는 어떻게 답변할 것인가? 처음 ‘폭발’된 모든 재료나 에너지는 어디에서 온 것인가?

2. 지구는 46억년 되었다?
세속적인 과학자들은 지구가 46억년 전에 자연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많은 증거가 우리 행성이 그보다 젊음을 확인시켜준다. 예를 들면, 현재 지구 자기장의 쇠퇴 속도를 보면 지구 자기장은 10만년 전에 시작해야 한다. 또한 지구의 화석, 석탄 및 다이아몬드는 수백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들은 모두 짧은 수명의 방사성 탄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10만년 보다 오래될 수 없다.
질문: 지구가 수십억 년이라면 왜 아직도 자기장이 있을까? 수백만 년 전에 형성됐다고 여기는 천연자원에서 반감기가 짧은 방사성 탄소가 발견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Read More

여성에 대한 다윈의 사고 1859년 <종의 기원>을 쓴 찰스 다윈은 기본적으로 여성을 남성보다 훨씬 덜 진화된 존재로 여겼다. 먼저 여성에 대한 그의 직접적인 언급을 보면 쉽게 파악된다. “남성과 여성 사이의 차이점이 너무나도 커서, 그토록 다른 존재가 한 종에 속한다는 사실이 놀랍다.”

“남성이 여성으로부터 태어난다는 것은 마치 완벽한 캥거루가 곰의 자궁에서 태어나 는 것과 같이 터무니없는 것이다.” “동물 사육자가 동물들을 인위적으로 선택하여 가축들의 형질을 결정하듯 남성이 성 선택을 통하여 여성의 진화를 이루었다.” “여성은 단지 성적인 매력이 우월하기만 하면 된다.”

다윈은 남녀를 진화 과정으로 해석하는데 있어서 ‘성 선택을 통한 경쟁’을 남 성 진화의 열쇠로 믿었다. 성 선택(Sexualselection)이란 동물이 자신의 짝에게 선택을 받기 위하여 모양이 진화되어 왔다는 진화 이론이다. 예를 들어 공작의 꽁 지깃, 수사슴의 뿔 그리고 수사자의 갈기 등이 매력적인 것은 이성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으로 해석하는 식이다. 그러나 이런 모습이 인간이 보기에 좋은 것인지 동물들도 그렇게 느끼는 지는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다윈은 1871년에 쓴 < 인간의 유래(TheDescent ofMan)> 에서 이와 같은 성 선택을 인간에게까지 확장 했다. 900여 페이지에 달하는 전체 분량 가운데 70페이지 정도를 인간의 성 선택 에 할애할 정도로 비중 있게 다루었다. 예를 들어 다윈은 남성의 턱수염을 성 선 택의 결과일 수 있다고 하며, 여성이 턱수염을 가진 사람을 좋아하기 때문에 턱 수염을 가진 자들이 더욱 선택되어 남자가 턱수염을 갖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런 식의 성 선택은 다윈이 자연선택을 설명하는 중요 요소였다.

Read More

앞서( 2019, 1) 사회진화론을 다루는데 있어서 러시아에서의 공산주의를 주로 다루 었다. 이번에는 중국 공산주의에 대하여 살펴본다.

중국 근대사 속 진화론 찰스 다윈(Charlest Darwin, 1809–82, 영국)의 종의 기원이 출판되었을 때 이를 전적으로 따르는 제자들이 있었다. 진화론을 수호한다고 해서 ‘다윈의 불독’이라고 불리는 헉슬리(Thomas Henry Huxley, 1825-95, 영국)와 ‘독일 진화론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헥 켈(Ernst Haeckel 1834-191, 독일)이 대표적인 사람이다. 특히 1898년 헉슬리의 책인 <진화와 윤리, Evolution and Ethics>가 출시되자 중국어로 번역되어 대중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또한 사회진화론의 아버지인 스펜서(Herbert Spencer, 1820-1903, 영국)의 책도 번역되어 중국을 휩쓸었다.

중국의 공산주의를 다루기 이전에 중국에 진화론이 어떻게 알려지게 되었는 지를 아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중국에 다윈의 자연선택과 함께 진화론이 알려지는데는 옌푸(嚴復, 1853-1921)라고 하는 사상가로부터로 알려진 것으로 본다. 그는 진화론을 선도하였는데, 그로 인해 당시 청나라와 대항했던 혁명가들은 “다윈의 깃발을 높이 치켜 세우면서”라며 자신의 편들을 독려했다. 이런 정치 적 운동의 지도자들은 당시 서구에서 나온 과학적인 인종 차별주의 사상에 동화되어 자신들이 중국을 통치하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여겼다.

Read More

사회진화론에 영향을 받은 사업가들
앞서 다루었던 ‘사회진화론의 아버지’ 스펜서는 “실업자이거나 사회 부담되는 자들은 도움과 자선의 대상이되기보다는 죽는 것이 허락되야 하며, 그러려면 부적절한 사람들 을 제거하고 심하게 다그쳐야 한다”는 식의 끔찍한 자신의 철학을 보여주었다. 덜 적합한 자나 기업은 제거되어야 하며 ‘합리적 사람’은 방해를 받아서는 안된다는 냉혹한 진화 법칙은 스펜서의 일관된 결론이었다. 이는 진화의 냉혹한 ‘생존 법칙’에서 비롯된 것이다.

위와 같은 스펜서의 사회진화론의 영향을 받았던 성공한 사업가들은 기업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이들은 부당한 경쟁으로 희생한 자들의 실패를 당연시했다. 몇몇 진화론자들은 진화론이 사회에 너무 지나치게 적용되는 것에 대한 비판을 하긴 했 지만, 자유 방임주의는 자본가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가 있었다. 왜냐하면 이들 은 자신들의 자세가 과학적으로 지지를 받는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Read More

우주는 거대한 집이다. 즉 우주는 만물이 거할 수 있는 만유의 집이다. 이 거대한 집을 누가 지었나 아니면 저절로 지어졌나? 또 지은 것이 사실이라면 건축 자재는 무엇이며 그 의도는 무엇인가?

성경에서 창세기 1장의 창조 첫째 날에 나오는 요소들은 시간과 공간과 물질과 빛이다. (창1:1-5) 그런데 오늘 날 물리학자들 역시 우주의 건축자재는 시간과 공간, 그리고 물질과 빛이라고 말한다. 또 과학자들은 시간과 공간과 물질은 연합되어 있어서 서로 나눌 수 없고 또한 빛이 없이 이들이 존재할 수 없다고 여긴다. 그러면 이렇게 4가지 요소로 이루어진 우주, 그 끝이 있을까? 그렇다면 시 간과 공간과 물질과 빛으로 이뤄진 우주의 경계는 무엇으로 되어 있다는 말인 가? 이는 시간과 공간을 벗어나 보지 못한 인간의 입장에서 답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아님이 분명하다. 이는 시공 속에 갇힌 물질계를 다루는 과학의 영역을 벗어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먼저 시공을 넘어서 창조를 증거하는 성경을 살펴보자.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창 1:1)
성경의 첫 구절이며 하나님께서 하신 첫번째 일이다. 모든 것을 초월하신 하나님께서 태초라고 하는 시간의 시작과 동시에 하늘이라는 공간과 지구라는 첫 물질을 창조한 것이다. 여기서 시간-공간-물질은 모두 동시에 함께 창조된 것이다. 시간-공간-물질 이 세 가지를 함께 표현하는 것은 이들을 각각 구분해서 나눌 수 없기 때문이다.
성경의 첫째 날 첫 번째 구절에 사용된 창조라는 단어는 히브리 원어로 바라 (Bara)이며 이는 절대 무(無)에서 무엇인가를 만들어 낼 때 비로서 사용할 수 있 는 단어이다. 여기서 절대 무(無)라는 개념은 시간과 공간과 물질과 빛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그러므로 우주의 끝, 다시 말해서 우주의 경계는 절대 무(無)와 유(有)의 경계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절대 무(無)를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우주의 끝이나 그 한계를 논하는 것은 크게 모순이 된다.

Read More

무자비한 자본주의의 출현 진화론은 19, 20세기 동안 단지 나치즘이나 공산주의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을 뿐 아니라, 동일한 시기에 이와 상반된 이데올로기인 자본주의 안에서도 영향을 끼쳤 다. ‘다윈의 불독’이라는 별명을 가졌던 진화론자 헉슬리(Julian S. Huxley, 1887-1975, 영국)도 2차 세계대전 등을 겪으며, 진화론이 사회에 많은 악들을 생산해 왔음을 스스 로 인정했다. 21세기에 사는 우리 역시 진화론과 마르크스를 제대로 이해하지 않고 현 21세기를 파악할 수 없다는 말은 과장이 아니다. 그만큼 여전히 진화론과 거기서 파생 된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태로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종종 불법적이고 무자비한 사업 방법을 과학이란 말로 정당화한다. 진화론을 과학이라고 착각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기업을 경영하는데도 그대로 적용되어 기업 간에 파괴적인 경쟁과 회사 내에서 고용인들에 대한 무자비한 처우는 자연법칙으로서 정당한 일이라고 여기 게 되었다. 적자생존이란 진화론적 개념은 우리 사회에 피할 수 없는 현실이며 이를 사업 윤리라고 불렀다. 즉 ‘더 약한’ 사람과 사업 모두에 한계없이 착취하는 것이 자연스럽고 정당화 된 것이다. 그 결과 19세기 후반부터 유럽과 미국에서 무자비한 사업 진행은 그 수위가 급격히 높아졌다. 여기서 분명히 해야 할 것은 ‘건강한 기술개발이나 사업 아이디어’와 ‘무자비한 사업 방법’은 분리해서 이해해 야 한다는 점이다. 다수가 아니더라도 크리스천 기업인들 중에서 연민을 갖고 근 로자에게 따뜻하게 대한 사람들이 있었다. 

Read More

1859년 다윈의 ‘종의 기원’이 출판된 지 얼마 되지 않은 19세기 말, 겉으로 보여지는 기독교는 거의 변함이 없는 듯이 보였다. 예배도 그대로 있고, 성가대도 있고, 여전히 세례식도 이어졌다. 그러나 무언가 변화가 있었다. 종교로서 기독교의 틀은 남아있었는데, 그 본질인 성경과 생명이 사라진 것이다.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주관하시며 그분께서 계시해주신 성경이 정확 무오한 사실이라는 믿음이 교회 안에서 흔들린 것이다. 기독교의 가장 근본적인 기초가 사라진 것이다. 과연 교회에서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여기에 분명한 답이 있다. 바로 자유주의 신학의 탄생이다.
자유주의 신학을 이해하기 위해 중요한 한 사람을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구약 신학자인 벨하우젠(Julius Wellhausen, 독일, 1844-1918)이다. 19세기 후반부터 그를 포함해서 몇몇 합리주의 신학자들은 성경을 하나님께서 계시한 무오한 책이 아닌 단지 사람들이 모아 놓은 글에 불과하다는 이론을 펴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모세오경은 모세가 쓴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수 많은 저자가 쓰고 편집된 역사로 여겼다. 그러므로 그안에 쓰여진 아담과 하와는 실재 인물이 아닌 신화일 뿐이라고 여겼다.

Read More

[2020년 1월 뉴스레터] 20세기 들어와서 지구상에 공산주의(Communism) 사상으로 진통을 겪지 않은 나라는 없다는 말이 과장은 아닐 것이다. 21세기에 들어와서 그 사상을 시도했던 결과는 거의 드러났기 때문에 이제 와서 이에 대하여 다시 논한다는 것이 새삼스럽다고 느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 안에 남아있는 부분도 있고 또한 진화론이 인류 역사에 또 다른 각도로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