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 박사는 이미 진화 역사를 사실로 정해놓았기 때문에 스스럼 없이 성경 역사에 손을 댄다. 앞서 지적했듯이 유신론적 진화론을 받아들이고 창세기 기록을 고대 근동 창조설화 중에 하나로 보았기 때문에 성경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인 첫 사람 아담과 그가 행한 원죄도 성경에서 벗어나 해석하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저자는 첫 사람 아담의 창조를 처음부터 완전한 인간으로서의 창조가 아닌 진화 방법의 결과로 주장하며, 아담의 원죄 문제도 성경에 기록된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신이 자연선택이나 유전자변이 등과 같이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진화의 방식을 사용해서 인간을 창조하지 않아야 할 이유는 없다” (p. 84).
“아담이 진화의 방법으로 창조되면 안 되는 이유라도 있나?” (p. 229). 저자는 진화론적 아담을 만들면서 “그러면 안 되는 이유라도 있나?”라고 반문하며 이야기를 전개를 해나간다. 그러나 이는 ‘자신’이 진화론을 믿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에게 문제될 이유가 없다고 말하는 것이다. 우리는 진화론에서 이유를 찾는 것이 아니라 ‘성경’에서 그 타당성의 여부를 찾아야 한다. 그러나 성경을 보면 아담에 대한 이러한 저자의 생각은 문제될만한 심각한 이유가 있을 뿐 아니라 ‘이유’에 대한 한계를 넘어 ‘반성경적’ 발상이다.
성경에서는 아담이 진화과정 속에 창조되었다는 어떤 분위기도 찾을 수 없다. 성경은 창조과정 가운데 반복적으로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다”고 하며, 특별히 인간을 창조하실 때는 “보시기에 심히 좋았다”(창 1:31)고 기록하고 있다. 어디에도 수백만 년 동안 진화와 멸종이 반복적으로 발생한 다음 아담이 창조되었다는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저자가 주장하듯이 진화과정으로 아담이 창조되었다는 생각은 성경과 맞지 않기 때문에 곧 바로 창조자의 성품과 전능하심에 손상을 입힌다. 즉 창조과정에 드러난 하나님의 선하심과 전능하심이 심각하게 왜곡되는 것이다.

Read More

성경에 대하여
“우리가 믿는 것은 ‘성경을 우상시하는 성경교’가 아니라 ‘예수를 믿는 기독교’이다. 성경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해석의 작업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p. 110)
이 문장은 저자인 우 박사의 성경에 대한 자세를 가장 잘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문장에서 저자가 “성경을 우상시한다”고 하는 표현은 무엇인가? 성경 안에서 ‘예수’ 라는 단어가 나오지 않는 부분은 소홀이 해도 된다는 말일까? 아니면 다음 문장에서 언급하고 있는 것처럼 성경 자체보다 해석이 더 중요하다는 말일까? 저자는 책 전체를 통틀어 성경에 대한 이와 같은 자세를 일관되게 유지한다. 실제로 이는 성경을 대하는 저자의 자세 가운데 가장 심각하게 점검해보아야 할 부분이다. 과연 저자는 왜 성경을 우상 중에 하나로 취급했을까? 이는 책 전반을 읽을 때 쉽게이해된다. 왜냐하면 저자는 진화 역사를 진짜 역사로 놓고 이 진화론과 어긋나는 성경 내용은 진화론적 사고로 재해석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창조 과정에 대하여 극단적인 ‘유신론적 진화론’의 자세를 취한다. 책에서는 ‘진화론적 유신론’이란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이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인 ‘유신론적 진화론’과 다를 바 없다.

“우주진화와 생물 진화를 인정하고 진화 이론을 수용한다”(p. 248).
“예를 들어 창조주가 진화라는 방법을 사용해서 생물을 창조했다고 보는 진화 창조론을 꼽을 수 있다” (p. 43).

Read More

[2015년 1월 뉴스레터] 저자 우종학 박사는 책을 통해 자신이 생각하는 진화의 증거들을 언급 하기도 하며 스스로 하나님께서 어떻게 진화 과정을 진행하셨는지 그 방식도 제안한다. 책에 언급했던 진화의 증거들을 점검해보자. 화석저자는 “최근에 진화 고리를 연결하는 화석들이 많이 확보되었고 연결고리마다 비어있던 틈새들을 채우는 화석들이 계속 발견되고 있다”(p.163)고 주장한다. 그러나 저자는 현실과 완전히 반대로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아직까지…

Read More

[2015년 1월 뉴스레터] 저자 우종학 박사는 창조과학을 비판 하는데 한 단원을 할애 했을 뿐 아니라, 책의 여러 부분에서 창조과학을 비판한다.그 예들을 살펴보자. 솔로몬 성전의 물통 저자는 미국 창조과학 연구소의 창시자인 헨리 모리스 박사를 예로 들며 그 분이 ‘성경을 과학 교과서’로 봐야 된다는 주장을 비판한다(p. 110). 그러나 단순히 이 구절만으로 비판할 내용은 아니다. 모리스 박사가 과학…

Read More

2014년 10월 한국에서는 유신론적 진화론책이 한권이 출판 되었다. “무신론기자,크리스천 과학자에게 따지다(우종학,IVP)” 이다. 저자 우종학 박사는 예일대학교에서 천체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모두수십억년의 지구나이와 함께 진화과정을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는 극단적인 유신론적 진화론을 주장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창세기가 문자 그대로 오류가 없다고 하는 창조과학자를 비판하는식으로 전개되며,책의 마지막에는 창조,첫사람 아담,원죄부분까지 성경과 전혀거리가 먼 해석으로 마무리한다.

유럽이나 미국에도 이와 같은 입장으로 쓴 책이 여러 권 출판되어 교회에 적지 않은 나쁜 영향을 미쳐왔었다. 이제는 한국에서도 이와 같은 책이출판된 것이다. 또한 저자는 수년간 KOSTA(북미 유학생 수양회)를 비롯해서 여러곳에서 세미나를 인도하고 있다. 실제로 저자의 세미나를 들었던 분들로부터 그 동안 많은 문의를 받았던바 앞으로 두회에 걸쳐 이책에 대한 과학적 성경적 문제점을 지적하도록 하겠다. 글을 통해서 이 책뿐 아니라 이와 유사한 책들이 등장했을때 분별력을 갖추는데 귀하게 사용되기를 바란다. 이번 호에는 저자의 단어 사용의 오류, 창조과학자 비판, 저자가 주장하는 진화의 증거들에 대한 내용을 다룰 것이며, 다음 호에는 저자가 만든 유신론적 진화론과 성경해석에 대한 내용을 다룰것이다.

Read More

대륙들이 예전에는 하나였다가 점점 벌어져서 오늘날의 오대양 육대주가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대륙이 과거에는 하나로 붙어 있었다가 점점 벌어져서 대서양이 되었다는 식이다.
최근에는 대륙이 벌어졌다는 표현보다 대륙 지각(껍데기)과 해양지각이 퍼즐 조각처럼 여러 개의 거대한 판으로 구성되었고, 이 지판들이 과거에 상대적으로 이동해왔다고 설명한다.그래서 이를 연구하는 분야를 판구조론(platetectonics)이라고 말한다.

지질학자들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지판들이 과거에 이동했다는 것은 대부분의 창조론자나 진화론자에게 받아들여지는 바이다. 이는 여러 지질학적 증거들이 이런 추측을 뒷받침 하기 때문이다.대표적인 예를들어 보면 대양을 사이에 두고 두대륙의 해안선이 서로 맞아 떨어진다는점,두대륙의 지층과 화석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등이다.

지판들이 움직여 왔다는 것에는 어느편에 건반론이 거의 없는 반면,이들이 이동했었던 속도에 대하여는 서로 이견을 갖고 있다. 수십억년의 오랜 지구를 주장하는 많은 지질학자들은 이들이 오랜 세월에 걸쳐 지금의 대륙 위치에 오게 되었다고 여긴다. 이는 오늘날 대륙이 움직이는 속도가 연간 2-16cm 정도인데 이 속도로 과거에도 동일하게 움직였다는 가정하에 나온 것이다. 소위 말하는 동일과정설의 패러다임 하에서 설명하려는 자세이다.

그러나 오늘날에 이런 생각에 회의적인 자세를 갖고 있는 지질학자들도많이있다.실제로 오늘날과 그속도가 같을것이라는 편견에서 벗어나서 그 증거들을 본다면 지판들이 과거에는 전지구적인 격변에 의해서 아주 빠른 속도로 움직였다는 틀에 잘맞아 떨어진다.

Read More

“여호와 하나님이 동방의 에덴에 동산을 창설하시고(planted) 그 지으신 사람을 거기 두시니라”(창 2:8)

에덴동산은 성경을 믿는 우리들에게 늘 꿈같은 장소다. 죄 짓기 이전에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심히 좋았던 곳, 특별히 첫 사람 아담과 하와를 위해 창설하신 그곳은 어떤 곳이었을까? 또한 그곳이 지구상의 어딘가에 있었다면 오늘날 어느 위치에 해당할까? 이와 같은 질문을 하게 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그래서인지 창조과학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면 자주 받는 질문이다.

에덴동산은 성경에 언급된 곳이므로 무엇보다 성경에 기록된 내용을 먼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성경은 아래와 같이 묘사하고 있다 (창 2:9-10). 지명은 이해를 돕기 위해 영어성경(NASB)을 넣었다.

“강이 에덴에서 흘러 나와 동산을 적시고 거기서부터 갈라져 네 근원이 되었으니 첫째의 이름은 비손(Pishon)이라 금이 있는 하윌라 온 땅을 둘렀으며 그 땅의 금은 순금이요 그 곳에는 베델리엄과 호마노도 있으며 둘째 강의 이름은 기혼(Gihon)이라 구스(Cush) 온 땅을 둘렀고 셋째 강의 이름은 힛데겔(Tigris)이라 앗수르(Assyria) 동쪽으로 흘렀으며 넷째 강은 유브라데(Euphrates)더라”

Read More

창조 셋째 날 하나님께서 “땅은 풀과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라”고 하시며 식물을 창조하신다.
식물의 녹색은 우리 시야에 푸른 하늘 다음으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색이다. 녹색은 가시광선인 빨-주-노-초-파-남-보에서 정가운데 위치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눈에 가장 편안함을 제공해준다. 식물의 잎이 녹색을 내는 이유는 엽록소라는 색소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엽록소는 단지 녹색이라는 편안한 색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여기에서 상상할 수 없는 놀라운 일이 벌어진다. 바로 광합성이란 과정이다. 단어가 말하듯이 빛을 합성시킨 다는 의미다. 빛은 에너지의 가장 근본 물질이며 지구상에 오는 빛 에너지의 거의 모두는 태양에게서 온다. 그렇지만 사람과 동물이 태양 빛에 몸을 아무리 노출시킨다고 해도 그 귀중한 빛 에너지를 자신의 몸에 사용하도록 스스로 붙잡아두지 못한다. 검게 그을려지고 결국 탈진해서 쓰러져버리고 말것이다. 즉 이 에너지를 우리가 섭취하도록 해주는 특별한 장치가 필요하다는 말이다.

그런데 이 녹색식물이 바로 이 빛을 가지고 우리가 먹고 힘을 내는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로 전환시켜주는 역할을 해준다. 즉 탄수화물이라는 영양소로 전환시켜주는 것이다. 탄수화물은 소위 녹말이라고도 부르기도 하는데 쌀, 옥수수, 감자를 먹을 때 많이 섭취하는 것이다. 이 녹말은 탄수화물의 대표적인 형태라 할 수 있다. 모두 식물에서 얻어진다. 쉽게 표현하자면 녹색을 내는 엽록소 하나하나가 놀라운 식품공장이란 의미다. 즉 인간은 음식을 통해서 에너지를 섭취하는데 식물이 빛과 동물이나 사람 사이에서 빛 에너지를 음식(!) 에너지로 전환시켜주는 완벽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몇 가지 더 다루어 보면, 엽록소에서 광합성이 일어날 때 빛뿐 아니라 물과 우리가 숨을 쉴 때 나오는 이산화탄소가 사용된다. 이들이 합성되어 탄수화물과 함께 산소가 방출된다. 산소는 어떤 기체인가? 인간과 동물이 숨을 쉬는데 필수적인 기체다. 녹색식물은 빛, 물, 이산화탄소 세 가지만을 가지고 우리가 먹어서 힘을 낼 수 있는 탄수화물뿐 아니라 숨을 쉬기 위해 꼭 필요한 산소까지 만들어내는 것이 아닌가! 또한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녹색 식품공장은 매연이 아닌 오히려 우리와 동물들에게 꼭 필요한 기체를 뿜어주고 있는 것이다.

Read More

진화론적인 인류의 시작을 말할 때 보통 석기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시대 등으로 나눈다. 과연 이들을 성경적으로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최근에 진화론적 고고학자들은 석기시대를 구석기(2백만년- 8만년 전), 중석기(8백만년- 3만년 전), 신석기(3만년- 1만년 전)로 구분한다. 이 연대들은 진화론자들이 구분하는 빙하시대에 해당되는 시대다.

여기서 빙하시대를 진화론적 접근에서 벗어나 성경적으로 이해한 사람이라면 석기시대 연대 구분이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임을 통찰할 수 있을 것이다. 창조과학자들은 빙하시대가 길어도 500 년을 넘지 않았을 것으로 여긴다. 이 시기는 성경의 족보로 보자면 벨렉에서 이삭까지 이어지는 기간이다. 즉 성경적 역사가 사실임을 이해한다면 석기시대라는 긴 기간은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빙하시대에 관하여 더 많은 정보를 원하는 분은 빙하시대이야기(이재만,최우성,두란노, 2011)나2010년도CreationTruth를참고하기바란다.

진화론자들은 구석기는 타제석기로서 돌을 깨서 다듬는 시기며, 신석기는 마제석기로 구분하며 돌을 갈아서 다듬었던 시기라고 말한다. 그러나 과연 구석기와 신석기 유물이 한 장소에서 그것도 구석기 유물은 아래에, 신석기 유물은 그 위에 같은 장소에서 발견된 경우가 있을까? 두 가지 유물 모두 지표에서 아주 드물게 발견된 것들이다. 더욱이 석기시대 유물은 참으로 드물게 발견된다. 그러므로 이런 도구가 보편적으로 사용했던 도구인지 아닌지도 쉽게 판단할 수 없다. 어떤 구석기시대의것들은유물이라고하기에는민망한것들도있다.

Read More

노아홍수 내용을 다룰 때면 종종 받는 질문이다. 질문인 즉 오늘날에 민물고기와 바닷물고기로 나뉘는데, 홍수 동안에 깊음의 샘들이 터지고 하늘의 창이 열리는 격변으로 민물과 바닷물이 모두 섞였다면 물고기들이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겠나 하는 것이다.

성경에는 홍수 동안에 물고기에 대한 언급이 없다. 홍수 동안에 전멸한 자들은 사람과 코로 숨을 쉬는 육지의 동물이었다(창 7:21). 그리고 방주에 탔던 노아의 세 아들을 통해 온 땅에 퍼졌고(창 9:19), 오늘날의 육지 동물들도 함께 방주에 탑승해서 보존된 것들이다(창 7:3). 성경에 물고기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것으로 보아 홍수 심판은 물고기의 씨를 마르게 하지는 않았음을 엿볼 수 있다. 즉 많은 물고기가 죽었다고 할지라도 모두 죽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실제로 모든 물고기가 죽는다는 것은 쉽지 않다.

예를 들어 1980년에 화산 폭발한 세인트 헬렌산(St. Helen)의 경우 화산재가 근처에 있는 스피릿(Spirit) 호수로 밀려왔을 때, 알칼리도(염분 등이 용해된 농도)가 15000배, 수온이 4°C에서 22.4°C로, 혼탁도가 33배가 증가했다.
물론 이때 호수의 많은 물고기가 죽었지만 10년 안에 모두 회복되었다. 여기서 홍수 심판이 스피릿 호수와 같이 고립된 곳이 아니라 전지구가 물로 덮였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실제로 전지구가 물로 덮였다고 가정할 때, 지금의 바닷물로 환산하면 당시 물의 평균 깊이는 평균 2.6km에 달한다. 이는 당시지구를 덮었던 물 전체가 동일하게 수온이 높아지고 염도가 높게 되는 것이 불가능함을 의미한다. 즉 이런 상황에서 지금의 물고기가 완전히 멸종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