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언급한 여러 쟁점들을 통해 진화론에 사로잡힌 “중간단계 화석”개념의 문제점을 비교적 자세히 다루었는데, 마지막으로 고래화석 역시 중간단계 화석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다루어 본다.   7) 고래화석 & 마무리[영상 7’28”~11’13”] 북툰은 고래의 중간단계 화석으로 파키케투스(Pakicetus)와 암불로케투스(Ambulocetus)를 조명하였다. 그러면서 이러한 발견들이 발굽 달린 포유류에서 원시 고래까지의 전이 과정을 훌륭하게 보여준다고 주장하였다. 많은 “아마추어” 진화론자들은 고래가 육지 동물인 포유류에서부터…

Read More

이번 글에서는 중간단계 화석의 뜨거운 감자라 불리는 시조새와 틱타알릭을 다루어 보겠다. 6) 시조새 [영상 4’26”~6’14”] 영상의 시작부터 북툰은 “전세계 학계에서는 시조새를 공룡과 새의 대표적인 중간단계 화석으로 인정”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실제로 정말 그런지 학계의 목소리를 직접 들어볼 필요가 있다. a)   진화론자이며 새에 대하여 최고의 권위자인 앨런 페두치아(Alan Feduccia) 박사는 시조새에 대하여 이렇게 결론지었다: ‘고 생물학자들은 시조새를…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