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in

뉴스앤조이(그랜드 캐니언이 노아 홍수 때 생기지 않았다는 증거, 양승훈, 2016년 8 월28일)에 그랜드캐니언 형성에 대한 창조과학자들의해석에 대한 비판글이 실렸다. 이에 그랜드캐니언 창조과학탐사를 인도하고 있는 필자의 이에 대한 변론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이번글이 많은분들께 창조과학탐사에 대한 궁금증도 풀리는 기회가 되기를  희망한다.  이번에는 양승훈 교수가 다루었던 사행천에 대하여만 반론을 내려고 한다.

사행천이란 뱀이 구불구불 기어가는 모습을 보이는 강을 의미한다. 그랜드 캐니언 아래 흐르고 있는 콜로라도강도 록키산맥에서 시작하여 콜로라도고원을 가로지르며 사행을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상류로부터 글랜 캐니언, 마블 캐니언, 그랜드 캐 니언을 이어서 구불구불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지도를 통해서도 쉽게 확인된다(그림). 사행천 가운데 가장 유명한곳으로는 상류인 글랜캐니언에 말굽 모양으로 휘어진 말굽 만곡(Horseshoe Bend)일 것이다. 이곳도 필자의 창조과학탐사의 경유지에 포함 되곤한다.

양승훈 교수의 앞선 글은 전체적으로 “사행 패턴은 느린 침식 하천의 특징”이므 로 “대홍수가 갑작스럽게 물러가면서 침식작용이 일어날 때는 구불거리는 캐니언이 만들어지지 않는다”고 요약될 수 있다. 우각호도 언급했지만 이는 사행천의 일부이다. 대부분의 지형학 교과서에는 양 교수의 언급대로 사행천이 느린 하천에 의해 형성된다고말한다. 그러나 이런 해석은 ‘현재’사행하고 있는 강들이느린속 도로 흐르기 때문에 나온 동일과정설적인 사고에서 비롯된 것이다. 실험에 의한 결과는 아닌 것이다. 실험에 의하면 사행천은 아주 거대한 유출량에 의해 빠르게 형성이 된다. 특별이 그랜드 캐니언과 같이 깎아지를 듯한 수직의 협곡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예를 들어 세퍼드(R. G. Shepherd)는 사행천의 형성을 실험을 통해서 결과를 얻 어냈는데, 이를 사이언스지에 기고 하였다. 이때 대규모의 인공수로를 사용한 실험이 수행되었는데, 그 결과는 유출량이 적어서 하천의 충적층을 휩쓸만한 에너지가 약할 때는 하천이 수평으로 깎였다. 반면에 유출량이 많은 경우 침식면이 수직을 이루는 사행천이 형성되었다.  세퍼드는 그 결과를 이와 같이 말했다. “이 실험 결과는 수직으로 깎인 ‘샌 후안 강의 거위 목 협곡’(San Juan Gooseneck: 유타주 콜 로라도고원에위치한 300m 정도의깊이의사행협곡)사행천은하천에서모든흙 (충적층)을 끌고 나갈 엄청난 강도로 드물게 일어나는 배수과정에 의한 침식작용의 결과다.”(R.G. Shepherd,“IncisedRiverMeander:Evolution in SimulatedBedrock,” Science178, p.409-411, 1972). 그러므로 사행천이 오랜 시간에 걸쳐서 형성되었다 고 하는 것은 실험에 의해서 얻어진 것이 아니다.  더군다나 실험이 말하듯이 수직으로 깎아 지른 협곡은 오늘날의 느린자연과정으로 형성될 수 없다.

또한 양 교수가 사행천의 횡단면이 대칭을 보이지 않는 것은 오랜 시간에 의한 것이라고 언급하였는데, 위의 실험에 의하면 사행천에서 굽이치는 부분은 결코 대칭의 협곡을 만들지 않는다. 왜냐하면 물의 양이 많거나 적거나 굽이치는 부분에서 유속은 언제나 바깥쪽(공격사면)이 안쪽(퇴적사면)보다 훨씬 크기 때문이다.  이런 유속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굽이치는 부분은 대칭이 되기 어렵다.

또한 그랜드캐니언의 콜로라도강 상류는 넓고 평평한 고원 아래서 흐르는 데협곡의 폭에 비해 강물이 흐르는 폭은 아주 좁다.  이와 같이 강폭에 비해 실제 흐르는 강이 좁고 주위 지형보다 낮은 경우를 “언더핏류(underfit)”라고 말한다. 즉 현재 콜로라도강의 적은유출량으로서는 지금의 그랜드캐니언과 같이 수십킬로미터 너비와 깊이의 강폭을 만들 수 없다.  즉 언젠가 엄청난 양의 격변적 배수과정에 의해 침식된 후에 그 모습이 거의 변하지 않았다는 것이 타당한 해석이다. 더욱이 고원을 벗어난 콜로라도 하류에는 수 미터에 해당하는 돌들로 채워져 있다. 이는 오늘날에 흐르는 콜로라도강의 유속과 유량으로는 운반될 수 있는 것들이 아니다. 이는 단 한 번의 아주 높은 에너지의 배수 과정으로만 운반 가능하다. 실제로 이런 증거들 때문에 그랜드 캐니언이 오랜 시간에 의한 침식으로 형성되었을 것이 라는 해석은 1964년 심포지움부터 회의적이었다(Evolution of theColorado Riverin Arizona,’ in theMuseumofNorthernArizonaBulletin 44, p. 1-67, 1967). 실험이 말하듯이 사행천을 지층이 단단해지기 전 엄청난 양의 물에 의한 침식 결과로 볼 때, 깊이 1.8, 너비 최대 30, 길이 430 킬로미터의 그랜드 캐니언은 그 모든 지층이 형성된지 얼마 되지 않은, 즉 지층이 아직 굳기 이전에 다량의 물이 후 퇴하는 과정에서 남겨놓은 침식 흔적이란 해석은 결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양 교수가 사행천이나 우각호에 대하여 다소 길게 설명한것들은 일반지질학 교과서 내용을 거의 그 대로 적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대학 교 과서에 실험이수반된 내용이 수록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이전의 해석을 그대로 적어 놓은 것이 많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므로 이런 일반지질학의 지식을 갖고 접근하면 실제 지질학자들이 실험에 의해 발표한 결론들과 사뭇 동떨어진 해석을 갖게 된다. 양 교수의 글에 등장하는 ‘지질학적 상식’이란 것의 많은 것들이 1960년대 이전에 실험을 거치지 않은 동일과정 설적 해석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 다. 과학에서 가장 신뢰성을 두어야 하는것은 당연히 실험에 의한 결과이다. 양 교수는 성경이 지질학 교과서가 아니라고 말한다. 필자도 이 말에 동의한다. 그렇기 때문에 성경은 지금까지 저자들에 의해 수없이 변해왔던 지질학 교과서로도 흔들리지 않는다. 성경은 과거 일어났던 사실을 적은 책이기 때문이다. 또한 양 교수가 언급한것 처럼 그랜드캐니언은 스스로 자신의 모습이노아홍수때 형성되었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오랜시간에 의해 형성 되었다고도 말하지 않는다. 이는 그랜드 캐니언을 바라보는 사람들에 의해 다양하게 해석되는 것이다. 그러나 필자와 창조과학 지질학자들은 여러 실험 결과들을 통해서 이런 모습은 시간이 아 니라 대격변에 의한 결과에 훨씬 합당하다고 말하고 있는것이다.

양 교수의 글에 창조과학탐사 자체에 대하여 추측하여 쓴 부분도 지적할 필요가 있겠다. 필자는 지금까지 350회 이상 그랜드 캐니언 창조과학탐사를 인도하여 왔다. 지금까지 참석자들이 일 만명이 넘는다. 여기에 참석자들의 대부분은 양 교 수가 말하듯이 지질학적 배경이 없는 일반인들이다. 지질학 전공자의 숫자가 적으 므로 이는 당연하다. 그러나 적은 수지만 지질학 전공자가 참석한 경우도 있으며 이들은 필자의 해석에 공감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또한 ‘지질학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사람들에게 가이드가 무슨 말을 하든 문제가 되지 않는다’라는 표현은 참 석자들은 문제의식도 없이 필자가 말하는 것을 무분별하게 받아들였다는 것으로 들린다. 이는 자신을 제외한 모든 사람을 폄하하는 자세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창 조과학탐사에는 과학자들을 포함해서 여러 현직 교수, 과학 전공 대학생 대학원 생, 신학자, 교회와 한국 교계 대표되는 분 등 각계의 전문인들이 참석하였다. 이 분들이 창조과학탐사에서 필자의 설명에 수긍하는 것이 이들의 수준이 낮아서일까? 실제로 창조과학탐사에서 수많은 질문과 답변이 오간다. 이는 참가자들이 필 자가 설명하는 것을 마냥 그대로 받아들이기만 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오히려 창 조과학탐사를 비판하고 있는 양 교수 자신이 지질학 전공자가 아님을 인정할 필요가있다.

또한 양교수가 언급 한것과 달리 창조과학탐사는 몇몇 대형교회들의 적극후원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대형교회 뿐 아니라 작은 교회도 많이 참석한다. 이는 창조 과학선교회 홈페이지에서 그 일정을 확인하면 쉽게 알 수 있다. 대부분 정성껏 모 은 자비를 들여 참석한다. 더군다나 양 교수의 이런 추측들은 지금 논하고자 하는 그랜드캐니언의 형성 과정 논의의 본질과는 동떨어진것이란 점도 지적하고싶다.

마지막으로 지난2000년 그랜드캐니언 협곡 형성에 대한 역대 가장 큰심포지엄에서도 그랜드 캐니언이 다량의 물에 의한 격변적 배수 과정으로 형성된 것을 가 장 적합한 해석으로 받아들였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이는 기존의 퇴적과 침식에 관한 실험과도 일치하고, 더욱이 성경에서 언급된 전지구적 홍수인 대격변 기록과도 부합된다고할수있다.

이 심포지엄에 참석했던 그랜드 캐니언 안내자며 지질학 전공자인 래이니의 표현이 이를 대변한다.

“그러나  이런(오랜 세월 동안 콜로라도 강의 침식) 방법으론 깊어지기는 거의 어렵다는것으로 바뀌었다… 흙탕물만 천천히 흘러서는 그랜드캐니언이 깎일수 없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드물게 일어나는 큰규모의 홍수로만 깊게 만들수 있다… 홍수의 엄청나게 큰 물은 기반암 위의 모든 자갈과 모래를 하류로 운반시킬 정도 로 용량이 아주 컸을 것이다.” (Ranney, Wayne, 2005,Carving GrandCanyon: Evidence, Theories, andMystery,GrandCanyon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