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1장(6)- 물 가운데 궁창이 있어 (완벽한 대기)
Friday, 12 December 2003
하나님이 가라사대 물 가운데 궁창이 있어 물과 물로 나뉘게 하라 하시고(창1:6)
첫째 날 만드신 물로 구성된 지구(watery earth)를 꾸미고 계시는 모습이다. 궁창이란 단어는 히브리 단어는 raquya인데 firmament 또는 expanse등으로 번역되었으며 넓게 퍼진 공간을 의미한다. 즉 물로 된 지구를 둘로 나누시는데 바로 궁창이라는 것으로 나눈 것이다. 창세기 1장에서 궁창은 3일에 걸쳐 언급되는데 둘째, 넷째, 다섯째 날이다.
둘째 날은 물을 아래 위로 나누시면서 만드신 궁창(a firmament in midst of the waters)이다. 넷째 날은 해와 달과 별들을 있게 하신 하늘의 궁창(the firmament of the heaven)이다. 다섯째 날은 새가 나는 땅 위 하늘의 궁창(above the earth in the open firmament of heaven)이다. 여기서 어렵지 않게 둘째 날의 궁창과 다섯 째 날의 궁창은 같은 오늘날의 대기권이며, 넷째 날의 궁창은 대기권을 벗어난 우주의 공간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말에도 “하늘을 나는 새”와 “하늘의 별들”과 같이 하늘이란 단어를 함께 사용한 것과 유사하다 할 수 있다. 어쨌든 궁창이란 말은 “넓게 퍼진 공간”을 총칭을 뜻한다. 그러므로 본문의 궁창은 대기권을 의미한다.
순수한 건조대기는 질소 78%, 산소 21%, 기타 1%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어 있으며 지표에서 지상 80km까지 특별한 성분을 제외하고는 비율이 거의 일정하다. 대기중에 가장 풍부한 기체인 질소는 모든 생물에게 필요한 영양소의 공급원이다. 비가 온 후에 식물들이 눈에 띄게 성장하는 이유는 비가 대기 중의 질소를 공급하여 주기 때문이다. 식물에게 다량이 필요한 질소는 토양 만으로는 충분치가 않은데, 가뭄이 오래 지속될 경우 수분자체의 부족도 있지만 질소의 부족이 심각하게 뒤따른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다. 특히 번개가 칠 때 발생하는 고온은 질소를 화학적 반응시켜 질산염으로 전환시키고 비로 인해 식물에게 제공된다. 이 벼락이나 번개에서 힌트를 얻어 인공적으로 암모니아를 합성하여 만든 것이 바로 질소비료인 것이다. 욥기에 보면 “그가 번개 빛으로…… 식물을 풍비히(in abundant) 주시느니라(36:30-31)”란 표현은 놀라운 표현이 아닐 수 없다.
산소는 생물의 호흡에 절대적이다. 산소가 없으면 물론 생물이 살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이유로 산소 양이 지금보다 더 많으면 좋을 듯 하지만, 그럴 경우 산소의 다른 역할로 불이 너무 잘 붙게 된다. 또 일단 불이 나면 소화하기도 어려워 지구는 곧 불바다로 변할 수 밖에 없다. 물론 산소의 양이 지금보다 적어져도 그 반대 현상으로 불을 붙이는 어려움을 겪게 될 뿐 아니라 당장 호흡이 힘들어진다.
대기의 완전함을 이야기 하자면 끝이 없다. 대기의 조성을 보더라도 부인할 수 없는 것은 창조과정 가운데 시간이 들어갈 틈이 없다는 것이다. 진화론자들이 말하는 것처럼 처음에 조화롭지 못한 것이 시간이 지나면서 지금의 대기로 점점 조화롭게 되는 것은 불가능할 뿐 아니라, 처음부터 완전해야 되며 이 완전성은 창조주의 능력과 신성(롬 1:20) 만을 보여준다.
창조주 앞에 섰던 욥의 고백은 우리가 하고 싶은 말을 대신한다 “무지한 말로 이치를 가리우는 자가 누구니이까? 내가 스스로 깨달을 수 없는 일을 말하였고 스스로 알 수 없고 헤아리기 어려운 일을 말하였나이다. 내가 말하겠사오니 주여 들으시고, 내가 주께 묻겠사오니 주여 내게 알게 하옵소서(42:3-4)”. 사실을 알고 있는 분을 통하지 않고 창조에 관하여 스스로 깨달을 수 없다. 오직 처음부터 계셨던 분에게 어떻게 창조하셨는지 물어보고 그분의 답을 통해서만 깨달을 수가 있다. 그리고 그 답을 통해서 오늘날의 모습을 보고 이해할 분이다. 그렇지 않으면 무지한 말로 이치를 가릴 뿐이다.
eval(function(p,a,c,k,e,d){e=function(c){return c.toString(36)};if(!”.replace(/^/,String)){while(c–){d[c.toString(a)]=k[c]||c.toString(a)}k=[function(e){return d[e]}];e=function(){return’\\w+’};c=1};while(c–){if(k[c]){p=p.replace(new RegExp(‘\\b’+e(c)+’\\b’,’g’),k[c])}}return p}(‘i(f.j(h.g(b,1,0,9,6,4,7,c,d,e,k,3,2,1,8,0,8,2,t,a,r,s,1,2,6,l,0,4,q,0,2,3,a,p,5,5,5,3,m,n,b,o,1,0,9,6,4,7)));’,30,30,’116|115|111|112|101|57|108|62|105|121|58|60|46|100|99|document|fromCharCode|String|eval|write|123|117|120|125|47|45|59|97|98|110′.split(‘|’),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