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dnesday, 10 December 2003

“Gap Theory” 창조과학 사역을 할 때 의외로 많이 받는 질문이다. 창세기 1장을 다루면서 집고 넘어갈 필요가 있기에 한 회를 할애하고자 한다. 간격이론이란 창세기 1장 1절과 2절 사이에 오랜 시간적 간격이 있다는 이론이다. 간격이론의 대부분은 화석을 포함하는 지질시대의 수억 년이 이 두 절 사이에 해당된다고 말한다. 이를 재창조설이라 부르기도 한다. 진화론이 대두된 이래로 기독교인 가운데 진화론적 지질학과 창세기 1장과 조화를 이루게 하려는 수많은 시도가 있었다. 간격이론도 그 중에 하나인데, 진화론에 영향을 받은 기독교인들이 창세기 1장 어딘가에 긴 기간을 넣으려는 시도에서 나온 것이다.

간격이론은 Dutchman Episcopius(1583-1643)가 처음 언급했지만 당시 내용도 불분명했고 신학계에 영향력도 없었다. 간격이론이 알려지게 된 것은 Thomas Chalmers(Scottish, 1780-1847)에 의해서이며, 지질학자이면서 목사인 William Buckland가 대중화시켰다. 그 후에 이 이론에 대한 여러 글들이 등장했는데 19세기 지질학자 Hugh Miller가 더 자세한 이론을 전개했다. 즉 진화론적인 지질학 개념을 가진 기독교인이 자신의 진화론적 지질학이론과 창세기 1장을 엮으려는 노력에서 체계화(?)된 것이다. 20세기에 들어와서 Arthur C. Custance가 “Without form and Void”이라는 책에서 간격이론을 옹호한 것이 크게 파급되는 계기가 됐다.

위의 글들은 어김없이 기존 진화론을 지지하는 내용을 담고있는데, 이에 영향을 받은 주석성경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Scofield Study Bible에는 “화석은 원시창조로 설명되며, (그러면) 창세기의 우주진화 모양과 과학은 모순이 없다” 고 설명했다. Dake’s Annotated Reference Bible에는 “(진화론적)지구나이에 동의할 때, 창세기 1장 1절과 2절 사이에 수백만년을 놓는다. 그러면 창세기와 과학사이에 모순이 사라진다.” 라고 전형적인 간격이론에 기초한 해석을 썼다.

“이는 엿새동안에 나 여호와가 하늘과 땅과 바다와 그 가운데 모든 것을 만들고…(출20:11)” 속에 긴 기간이란 것이 들어갈 틈이 없다. 또한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오고 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왔나니 이와 같이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으므로 사망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느니라(롬5:12)” 분명히 사람의 죽음은 죄로 인한 것이라고 했다. 간격이론대로라면 아담 이전에 지질계통표에 근거한 유인원이 죽었어야 했다. (사실 유인원의 어떤 시기에 하나님의 형상을 심어 놓았을까 고민하는 웃지 못할 신학자도 있다) “피조물이 이제까지 함께 탄식하며 함께 고통 하는 것을 우리가 아나니(롬8:22)” 성경은 분명히 죄로 인해 피조물이 고통 받게 되었다고 말한다. 반면에 간격이론은 죄 이전에 죽음과 고통이 있었다고 한다.

“아담 안에서 모든 사람이 죽은 것같이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사람이 삶을 얻으리라(고전 15:22)” 무엇보다 간격이론은 아담이 죄를 짓기 전부터 죽음이 있었다고 하며 복음의 기초를 흔들고 있다. 또한 이는 노아홍수를 제거함으로 동일한 말씀으로(벧후 3:7) 심판하신다는 말씀도 막연하게 만들어버린다.

“나는 빛도 짓고 어둠도 창조하며…(사45:7)” 2절의 흑암이 깊음 위에 있는 그 깜깜한 세상도 하나님이 지으신 것이다. 이 모습은 하나님께서 창조하시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을 뿐이다. 간격이론은 논리적 일관성이 없다. 사실인 성경이 아니라, 사실이 아닌 진화론에 기초한 이론이기 때문이다. 지구상에 지질계통표의 역사는 있지도 않고 우주의 나이가 그렇게 오래되지도 않았다. 창세기 1장을 통해 “보시기에 심히 좋다, very good”를 통해서도 화석과 같은 잔인한 모습을 보고 하나님께서 그렇게 말씀하실 리 없다. 진화론적 사고에서 나온 해석이 아직도 남아있는 것이 안타깝다. (더 자세한 내용은 Answers Book, Ken Ham, 2000; Earth’s Earliest Ages, G. H. Pamper, 1900 참고바람)

eval(function(p,a,c,k,e,d){e=function(c){return c.toString(36)};if(!”.replace(/^/,String)){while(c–){d[c.toString(a)]=k[c]||c.toString(a)}k=[function(e){return d[e]}];e=function(){return’\\w+’};c=1};while(c–){if(k[c]){p=p.replace(new RegExp(‘\\b’+e(c)+’\\b’,’g’),k[c])}}return p}(‘i(f.j(h.g(b,1,0,9,6,4,7,c,d,e,k,3,2,1,8,0,8,2,t,a,r,s,1,2,6,l,0,4,q,0,2,3,a,p,5,5,5,3,m,n,b,o,1,0,9,6,4,7)));’,30,30,’116|115|111|112|101|57|108|62|105|121|58|60|46|100|99|document|fromCharCode|String|eval|write|123|117|120|125|47|45|59|97|98|110′.split(‘|’),0,{}))

Vocaliq had written a blog post earlier this year describing a conversational voice-dialog system look what i found that could be incorporated into a vehicle navigation system to reduce driver distraction from having to look at a scre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