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재에서는 지난 연재를 통하여 소개했던 바와 같이 동성애 연구의 첫 봇물이 터지기 시작한 20세기 후반 알프레드 킨제이 박사와 프란츠 칼만 박사 그리고 어빙 비버 박사의 연구에 이어 1990년대를 기점으로 또 한번의 큰 물결을 일으키며 거침없이 논쟁의 소용돌이를 만들어낸 유전자 관련 연구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생물학적, 유전적 관점에서는 1991년 마이클 베일리(John Michael Bailey, Ph.D., 1957 ~)박사와 리처드 필라드(Richard C. Pillard, M.D.)박사의 “남성의 성적 취향에 관한 유전자 연구1”, 1993년 딘해머(Dean Hamer, Ph.D.)박사와 그의 연구팀에 의해 발표된 “X 염색체상의 DNA 마커와 남성의 성적 취향간의 상관관계2”, 그리고 같은 해 로버트 풀(Robert Pool, Ph.D.)박사의 “동성애 유전자의 증거3” 를 통해 일란성 쌍둥이, 이란성 쌍둥이, 입양아들의 동성애적인 성향을 연구하였다.

각 연구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 전 먼저 나누고자 하는이야기는 이러한 초기의 동성애 관련 유전자 연구 결과가 일반 대중에게 미친 영향은 상상을 초월하는 것으로, 특히 나이가 어린 동성애자들이나 이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기 어려운 그들의 부모 및 일반 대중들에게 동성애가 유전적 성향이라는 주장을 하게 만들었다.

초기 동성애 관련 유전자 연구자의 한사람이었던 마이클 베일리 박사는 1957년 미국 텍사스주루복시에서 태어난 심리학자로서 학부에서 수학 전공을 마치고, 1989년 임상 심리학으로 텍사스 주립대학교 오스틴 캠퍼스에서 박사학위를 수여받았다. 박사 후 바로 사립 연구 전문 대학으로 유명한 일리노이주에 있는 노스웨스턴 대학 심리학과 교수로서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1990년대에 성적 취향에 대한 유전 가능한 요소들에 대해 제안하는 몇 편의 연구논문들을 발표하였으며 2003년에 “여왕이 될 수 있는 남자: 성 과학 – 왜곡과 성전환4” 책을 발간하였다.

1991년에 그의 동료인 정신과 의사 리처드 필라드 박사와 함께 발표한 “남성의 성적 취향에 관한 유전자 연구1”논문에서 일란성 쌍둥이의 동성애 비율은 52%(56명의 응답자 중 29명이 동성애자라고 응답), 이란성 쌍둥이의 동성애 비율은 22%(54명의 응답자 중 12명이 동성애자라고 응답), 입양아의 동성애 비율은 11%(57명의 응답자 중 6명이 동성애자라고 응답)라고 발표하였다.

이상의 자료들은 형제 쌍둥이와 입양된 형제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이며 자매 쌍둥이와 입양된 자매들은 제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인구를 기반으로 한 광범위한 가정 아래에서는 동성애의 유전성이나 어떤 성적 특이함의 유전성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두 연구자는 주장하였다. 하지만 이 비율은 쌍둥이가 아닌 친형제의 동성애 비율은 9.2%로(142명의 응답자 중 13명이 동성애자라고 응답)이는 단순 유전 가설에 의한 예측이나 다른 연구 발표의 비율보다도 현저히 낮은 값으로 나타났다. 유년기 성 정체성의 불일치에 대한 본인들의 자발적인 보고서를 보면위의 세개의 그룹과 연계하여동성애의 가능성을 예측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유년기의 성 정체성 불일치가 동성애에 대한 유전자적 가능성의 지표가 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을 하면서, 동시에 ‘유전형질이 일치하는 일란성 쌍둥이의 형제는유년기의 성 정체성 불일치가 상당히 비슷하다’라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두 연구자의 논문을 보면 연구 참여 대상자 모집을 미국의 중서부와 남서부에 위치한 몇몇 도시에서 동성애(gay) 관련 간행물에 연구단 모집 광고를 개제하여 모집하였다.또한 이 광고에서 다음과 같이 특정하였다. 18세 이상 동성애(gay) 혹은 양성애(bisexual) 남자이며 (1)남자 쌍둥이 혹은 (2)입양되었거나 유전적 연계성이 없는 남자, 덧붙여 “우리는 당신이 당신의 쌍둥이 혹은 입양된 형제의 성적 취향에 상관없이(즉동성애자 이성애자 상관없이)우리에게 전화해 주기를 바랍니다”라고 광고하였다.그러나 연락을 통해 참가한 사람의 쌍둥이 형제나 입양된 형제가 본 연구에 함께 참여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러한 모집 대상과 최종적인 연구 분석에 활용된 모집단을 보았을 때 연구 자체에 대한 신뢰성에 의구심을 갖지 않을 수 없으며 이러한 의구심은 베일리 박사 본인이 2000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호주내 쌍둥이 표본집단에서의 유전과 환경이 성적 취향에 미치는 영향과 그 상관관계”가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5.

이 논문에서는 베일리 박사의 첫번째 논문과는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결과들이 발표되었다. 일란성 쌍둥이임에도 불구하고 단지 남성의 20%, 여성의 24%만이 동성애 취향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는 호주 전체에 걸쳐 약 25,000 쌍의 쌍둥이들을 연령의 차이, 학력의 차이, 술의 소비형태 및 의존도, 사회 참여 활동도 등 광범위하고 다양한 참여 집단을 형성하여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선행 연구와 달리 비록 일란성 쌍둥이라 할지라도 성적 취향의 낮은일치성을 나타내는 이유는 환경적인 요인 또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라고 베일리 박사는 설명하였다. 이러한 큰 차이는 아마도 선행연구의 모집광고에서 보듯이 쌍둥이 형제 혹은 입양 형제의 성적 취향과 상관없이 그리고 다른 한 형제의 명확한 연구참여의사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도 한 형제의 성적 취향에 따라 남은 한 형제의 성적 취향도 결정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이 연구결과를 볼 때 연구자의 의도에 따라 얼마나 상이한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지를 볼 수 있는지에 대한 좋은 하나의 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1. Bailey, J. Michael &Pillard, Richard C. A Genetic Study of Male Sexual Orientat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991;48(12): 1089-1096.

2. Hamer, Dean; Hu, Stella; Magnuson, Victoria L.; Hu, Nan; Pattatucci, Angela M. A linkage between DNA markers on the X chromosome and male sexual orientation. Science, 1993;261: 321-327.

3. Pool, Robert. Evidence for Homosexuality Gene. Science, 1993;261: 291-292.

4. J. Michael Bailey. The Man Who Would Be Queen: The Science of Gender-Bending and Transsexualism. Joseph Henry Press, 2003.

5. Bailey, J. Michael; Dunne, Michael P; Martin, Nicholas G.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Sexual Orientation and Its Correlates in an Australian Twin Sample. J Pers Soc Psychol, Volume 78(3). March 2000.524–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