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고 있는 이 우주가 얼마나 다이내믹한 세계인지를 가장 실감 나게 경험할 수 있는 방법은 우주선을 통해서이다. 지난 반세기, 대형 로켓 엔진이 개발 되면서 국가 기술의 상징으로 우주탐사는 최고의 관심사가 되었다. 그동안 국가 간 경쟁으로 지금까지 쏘아 올린 우주선은 첩보용, 통신용, 기상용 등 수없이 많다.

이 순간에도 이들은 잠시도 쉼 없이 지구 궤도를 날며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마치 하늘을 날고 있는 비행기를 공중에서 정지시킬 수 없는 것처럼 어느 우주선도 우주 공간에 잠시도 멈춰 세울 수가 없다. 이 우주선들은 모두가 운동법칙에 따라서 정확히 비행한다. 이들 어느 것도 저절로 이뤄진 것은 단 하나도 없다. 물론 수명이 다 되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면 지구의 중력으로 인해 대기권으로 추락하면서 타버리고 남은 잔재가 지표로 떨어지게 된다. 하지만 예외 없이 모두가 운동 법칙에 따라 주어진 운동을 한다.

일단 지상에서 쏘아 올린 우주선이 일정한 높이로 올라가 목표한 궤도에 진입 하면 그 궤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우주선은 지구 중력으로 아래쪽에서 당기는 힘과 우주 바깥으로 나가려는 원심력이 동일하도록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게 된다. 우주선의 중력과 원심력이 팽팽하게 균형을 이루며 원주 방향으로 달리는 속도를 ‘임계속도’라고 한다. 이 속도 보다 우주선이 느려지면 지구 쪽으로 떨어 지게 되고 반대로 더 빨라지면 먼 우주 공간으로 멀어지게 된다. 하지만 만일 대기의 저항이나 외부의 간섭이 없다면 우주선은 같은 속도를 유지하고 동일한 궤도를 항구적으로 돌게 된다. 마치 지구가 태양의 궤도를 계속 공전하는 것처럼 말이다.

우리가 잘 아는 우주정거장(ISS) 우주선은 지구 상공 약 350Km 궤도를 비행 한다. 이 우주선이 동일한 고도를 유지하며 궤도를 선회하데 필요한 원주속도가 초속 약 8Km이다. 이 속도로 이 우주정거장은 매 90분 마다 지구를 돌고 있다. 하지만 이 고도에는 희박하지만 어느 정도 대기가 있어서 저항과 마찰을 받게 되고 때문에 고도가 달라져서 가끔 추진 엔진을 켜서 궤도를 보정해줘야 한다. 물론 공기 저항이 없다면 우주정거장은 영구적으로 지구 궤도를 돌 것이다.

인공위성 중에는 지구의 상공에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소위 정지위성들이 있다. 이들은 지구의 적도 상공 3만 6천 Km에서 지구의 자전 속도와 같은 원주 속도로 조율되어 돌기 때문에 지구 상에서 볼 때 고정된 위치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 정지위성들도 초속 3Km 속도로 24시간 주기로 지구를 공전하는 것이다. 이렇게 모든 인공 우주선들은 태양계 행성들처럼 모두 우주 공간에 주어진 속도로 일정한 궤도를 달리고 있다.

여기서 흥미로운 것은 우주선 안에 있는 사람들이다. 우주선은 총알 보다 빠르게 달려서 하루에도 지구를 16번이나 돌고 있다. 그럼에도 이들은 이 속도를 느끼지 못하며 일과를 보낸다. 물론 우주선 안에서 중력과 원심력의 균형으로 무중력을 경험한다. 따라서 지상에서처럼 체중이나 물건의 무게를 느끼지 못 한다. 아무리 크고 무거운 물체라도 말이다. 때문에 이들은 우주선 안에서 걷지 않고 날아 다닐 수 있다. 또 위와 아래가 없기 때문에 어느 방향으로도 눕고 서고 일해도 전혀 불편하지 않다. 하지만 지구에서의 일상과 같이 지낸다. 이는 지 구가 엄청난 속도로 태양 주위를 공전하지만 우리들이 인식하지 못하는 것과 같다.

우주정거장 우주선에는 최대 6명까지 거주할 수 있다. 이들은 주어진 우주 탐사 임무를 수행하느라 바쁜 일정을 보낸다. 아침 6시에 기상하여 그날의 일정을 점검하고 아침 식사를 하고 점심식사, 저녁식사 그리고 샤워를 하고 독서를 하거 나 영화를 보고 9시 취침한다. 마치 지상에 있는 사람들처럼 지낸다. 이들은 약 6개월 동안 이렇게 우주선에서 살다가 임무를 마치고 지구로 귀환하게 된다.

우주정거장 우주선에서는 하루를 어떻게 정해야 할까? 지상에서 하루는 지구가 자전하는 주기이다. 그 주기가 시계로 24시간이고 그래서 지상에서 하루는 24시간이다. 지구의 위성인 달은 약 38만 킬로미터 상공에서 지구를 돈다. 달이 지구를 선회하는 주기가 29.5일로 한 달에 대한 정의이다. 그렇다면 우주정거장의 주기는 90분인데 이 주기를 우주선의 하루로 해야 할까? 여기서 주목할 점은 우리가 알고 있는 아침(Morning), 저녁(Evening), 낮(day time)과 밤(night), 하루 (day) 그리고 계절(seasons)과 일년(year) 등 시간에 대한 모든 기원은 사람이 결정 한 것이 아니다. 이 모두 오직 성경에서 그 기원의 답을 찾을 수 있다.

“하나님이 빛과 어둠을 나누사 하나님이 빛을 낮(day)이라 부르시고 어둠을 밤(night)이라 부르시니라. 저녁(evening)이 되고 아침(morning)이 되니 이는 첫째 날(day)이니라 (창1:4b-5), 또 “하나님이 이르시되 하늘의 궁창에 광명체들이 있 어 낮(day)과 밤(night)을 나뉘게 하고 그것들로 징조와 계절(seasons)과 날(day)과 해(year)를 이루게 하라” (창1:14)

오늘날 통신위성을 통하여 지구상 어디서나 무선 통화가 가능해졌다. 또 GPS 위성으로 위치도 추적이 가능하고 항공기 운항이나 자동차 운전에 이르기까지 얼마나 편해졌나! 기상위성을 통하여 보다 정확한 일기 예보가 가능해졌다. 이렇게 우주 탐사를 통하여 수 많은 유익을 얻고 있다. 그런데 무엇보다 우주탐사로 확인된 한가지 사실은 우주가 매우 다이내믹 하다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이내믹한 체제는 뉴턴의 운동법칙으로 정확히 표현 된다. 따라서 이는 필연의 결과다. 다이내믹에 관한한 저절로나 스스로와 같은 단어로 설명할 수 없다는 뜻이다. 이는 인위적인 입력이 있었음을 의미한다. 앞으로 다루게 될 지구와 달 그리고 태양과 그 행성들도 우주선들과 마찬가지로 엄격한 질서로 주어진 속도로 정해진 궤도를 제각기 달리고 있다. 그러면 태양을 비롯해서 그 행성들과 위성들의 궤도와 속도 그리고 방향을 누가 결정해 주 었다는 말인가? 이는 우주가 스스로 폭발하여 저절로 이뤄졌다고 주장하는 빅 뱅(대폭발) 이론이 얼마나 실제 사실과 거리가 먼 이야기인지를 반증해 준다.

“해와 달아 그를 찬양하며 밝은 별들아 다 그를 찬양할지어다. 하늘의 하늘도 그를 찬양하며 하늘 위에 있는 물들도 그를 찬양할지어다. 그것들이 여호와의 이름을 찬양함은 그가 명령하시므로 지음을 받았음이로다. 그가 또 그것들을 영원히 세우시고 폐하지 못할 명령을 정하셨도 다.” (시148:3-6)